앨프리드 마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앨프리드 마셜은 1842년 런던에서 태어나 1924년 사망한 영국의 경제학자이다. 그는 신고전학파 경제학의 기초를 다졌으며,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경제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마셜은 《경제학 원리》를 통해 탄력성, 소비자 잉여, 한계효용 등 주요 개념을 제시하고, 수요와 공급 곡선을 활용한 가격 결정 모형을 제시했다. 그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제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 등을 길러냈다. 마셜은 집산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견지했으며, 경제학자는 냉철한 두뇌와 따뜻한 마음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학에 관한 - 제러미 벤담
영국의 법철학자이자 사회개혁가인 제러미 벤담은 공리주의 철학의 창시자로, 법 개혁과 사회 개혁에 헌신하며 공리주의를 체계화하고 판옵티콘 감옥 모델을 제안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경제학에 관한 - 제라르 드브뢰
제라르 드브뢰는 프랑스 출신의 경제학자이며, 일반균형이론 연구를 통해 1983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고, 수리경제학 발전에 기여했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존스 칼리지 교수 - 존 콕크로프트
존 콕크로프트는 어니스트 월턴과 함께 콕크로프트-월턴 가속기를 개발하여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레이더 개발에 참여했으며, 전후 영국 원자력 개발을 주도한 영국의 물리학자이다. - 케임브리지 대학교 세인트존스 칼리지 교수 - 사이먼 킨리사이드
사이먼 킨리사이드는 1987년 데뷔 후 스코틀랜드 오페라단을 거쳐 로열 오페라 하우스를 비롯한 세계적인 극장에서 활동하며 21세기 오페라 초연에도 참여한 영국의 바리톤 오페라 가수로, 음악에 기여한 공로로 2018년 기사 작위를 받았다. - 옥스퍼드 대학교 베일리얼 칼리지 교수 - 조셉 라즈
조셉 라즈는 1939년 팔레스타인 출생으로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수학하고 법 실증주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법의 권위, 자유주의 정치철학 등을 연구하여 동시대 가장 중요한 법철학자로 평가받았다. - 옥스퍼드 대학교 베일리얼 칼리지 교수 - 아널드 J. 토인비
아널드 J. 토인비는 '도전과 응전' 개념으로 문명의 흥망성쇠를 분석한 《역사의 연구》를 집필하고 국제 정치에도 관여한 영국의 역사가이자 문명 비평가이지만, 서구 중심적 관점 등의 비판으로 학계 영향력이 감소하였다.
앨프리드 마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개인 정보 | |
이름 | 알프레드 마셜 |
출생일 | 1842년 7월 26일 |
출생지 | 런던, 영국 |
사망일 | 1924년 7월 13일 |
사망지 | 케임브리지, 영국 |
국적 | 영국 |
배우자 | 메리 팔리 마셜 |
학력 및 경력 | |
모교 | 세인트존스 칼리지, 케임브리지 |
소속 기관 | 세인트존스 칼리지, 케임브리지 브리스톨 대학교 칼리지 발리올 칼리지, 옥스퍼드 |
학문적 전통 | 신고전파 경제학 |
학문적 영향 | |
영향을 준 인물 | 토머스 칼라일 쥘 뒤퓌 윌리엄 스탠리 제번스 빌프레도 파레토 존 러스킨 헨리 시지윅 레옹 발라스 |
영향을 받은 인물 | 존 메이너드 케인스 아서 세실 피구 |
주요 기여 | 미시경제학과 후생경제학의 아버지 신고전파 경제학의 창시자 《경제학 원리》 (1890) 마셜의 가위 내부 및 외부 경제 마셜-러너 조건 |
기타 | |
훈장 | 영국 학사원 회원 |
2. 생애
앨프리드 마셜은 1842년 런던 버먼지에서 태어나 수학에 재능을 보이며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공부했다.[9][10] 대학 시절 사회 문제, 특히 빈곤에 대한 깊은 고민 끝에 경제학 연구로 방향을 전환했다.[29] 그는 경제학을 통해 사회를 개선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를 가졌다.[2]
1868년 케임브리지 강사로 학문 경력을 시작했으며, 1877년 메리 펠리 마셜과 결혼 후 잠시 브리스틀 유니버시티 칼리지 학장을 지냈다. 1885년 케임브리지 정치경제학 교수로 복귀하여 1908년 은퇴할 때까지 케임브리지 학파를 이끌며 후학 양성에 힘썼고, 1903년 독립된 경제학 학위 과정 창설에 기여했다.
그의 대표작은 1890년 출간된 『경제학 원리』(Principles of Economicseng)로, 신고전파 경제학의 기초를 다지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후에도 연구를 지속하여 『산업 무역론』(Industry and Tradeeng, 1919)[32], 『화폐·신용 및 상업』(Money, Credit and Commerceeng, 1923) 등을 저술했다. 마셜은 1924년 7월 13일, 81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앨프리드 마셜은 1842년 런던의 버먼지에서 태어났다.[4] 그의 아버지는 영국은행의 사무원이자 계산원이었던 윌리엄 마셜(William Marshall, 1812~1901)이었고, 어머니는 정육점 주인의 딸인 레베카(Rebecca, 1817~1878)였다.[4] 아버지는 독실하고 엄격한 복음주의자였으며,[5] 이러한 환경은 마셜의 사상 형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5] 마셜은 런던 교외의 클랩햄에서 성장했으며, 머천트 테일러스 스쿨에서 교육을 받으며[8]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재능을 발견했다.아버지는 마셜이 성직자가 되기를 바랐으나, 마셜 자신은 수학 연구를 희망하여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세인트 존스 칼리지에 입학해 수학과 물리학을 전공했다. 그는 뛰어난 수학적 재능을 보여 1865년 케임브리지 수학 트라이포스에서 2등 수석을 차지했다.[9][10]
대학 시절 마셜은 정신적 위기를 겪으며 물리학을 포기하고 철학, 특히 형이상학 연구로 방향을 전환했다.[11] 이후 윤리학으로 관심이 옮겨갔고, 특히 헨리 시드윅의 공리주의적 관점에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그는 당시 영국 사회의 빈곤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29] "영국은 세계 최고의 부유국임에도 왜 빈민들이 이토록 많은 것인가?"라는 의문을 품고, 방학 기간에는 직접 빈민가를 방문하며[29] 사회 문제 해결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그는 노동 계급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 경제학 연구의 중요성을 깨닫고[2] 경제학 연구에 몰두하기 시작했다.
1865년 케임브리지 세인트 존스 칼리지의 펠로우로 선출되었고, 1868년에는 도덕 과학 강사로 임명되어 학문적 경력을 시작했다.
2. 2. 학문적 경력
1868년경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도덕 과학(Moral Sciences) 강사로 임명되었다. 그는 경제학에 수학적 엄밀성을 더하여 보다 과학적인 학문으로 만들고자 했다. 1870년대에는 국제 무역과 보호주의 문제에 관한 소책자들을 저술했으며, 1879년에는 이를 모아 The Pure Theory of Foreign Trade: The Pure Theory of Domestic Values|외국 무역의 순수 이론: 국내 가치의 순수 이론영어으로 출판했다. 같은 해, 당시 케임브리지의 여성 칼리지(뉴넘 칼리지)에서 그의 제자였던 메리 펠리 마셜과 함께 The Economics of Industry|산업 경제학영어을 공동으로 출판했다.1877년 메리 펠리와 결혼하였으나, 당시 케임브리지 칼리지 펠로우(Fellow)에게 요구되던 독신 규정 때문에 교수직을 사임해야 했다. 이후 브리스틀에 신설된 유니버시티 칼리지(현 브리스틀 대학교)의 초대 학장으로 부임하여 경제학을 강의했다. 그와 아내가 함께 저술한 『산업 경제학』은 존 스튜어트 밀의 『경제학 원리』를 대체하며 큰 명성을 얻었고, 1882년 윌리엄 스탠리 제번스가 사망하면서 마셜은 영국을 대표하는 경제학자로 부상했다.
1884년 12월, 헨리 포셋의 사망으로 공석이 된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정치경제학 교수로 선출되어 1885년 1월 케임브리지로 복귀하였고, 2월에 교수로 취임하여 강연을 시작했다. 케임브리지에서 그는 경제학을 독립된 학문 분야로 만들기 위해 노력했으며, 1903년 마침내 경제학 학위 과정(Economics Tripos)을 신설하는 데 성공했다. 이전까지 경제학은 역사 및 도덕 과학 과정의 일부로 가르쳐져 전문적인 경제학자 양성에 한계가 있었다.
1881년부터 그의 대표작인 『경제학 원리』(Principles of Economics영어) 집필을 시작하여 10년 이상을 몰두했다. 제1권은 1890년에 출판되어 세계적인 찬사를 받으며 당대 최고의 경제학자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본래 국제 무역, 화폐, 경기 변동, 조세 등을 다룰 예정이었던 제2권은 그의 완벽주의적인 성격으로 인해 끝내 완성되지 못했다.
1880년대부터 건강이 점차 악화되어 1908년 교수직에서 은퇴했다. 그는 후임으로 아서 피구가 선출되도록 지원했다. 은퇴 후에도 연구를 계속하여 1919년에는 Industry and Trade|산업 무역론영어, 1923년에는 Money, Credit and Commerce|화폐·신용 및 상업영어을 출판했다. 마셜은 캠브리지 학파를 창설했으며, 그의 학문적 리더십은 아서 피구와 존 메이너드 케인스 등 후배 학자들에게 계승되었다.
2. 3. 주요 저술 활동
마셜은 경제학을 보다 과학적으로 만들고자 수학적 엄밀성을 추구했으며, 1870년대에는 국제 무역과 보호주의의 문제점에 대한 몇 권의 소책자를 저술했다. 이러한 초기 연구들은 이후 주요 저작들의 밑거름이 되었다.- 1879년 《외국 무역의 순수 이론: 국내 가치의 순수 이론》: 1870년대에 쓴 소책자들을 정리하여 출판한 책이다.[30]
- 1879년 《산업 경제학》 (The Economics of Industryeng): 아내 메리 펠리 마셜과 공동으로 저술했다. 이 책은 당시 널리 읽히던 존 스튜어트 밀의 《경제학 원리》를 대체하며 마셜에게 큰 명성을 안겨주었고, 그를 영국 주요 경제학자 반열에 올려놓았다.
- 1890년 《경제학 원리》 (Principles of Economicseng): 마셜의 대표작으로, 1881년부터 10년 가까이 집필에 몰두한 결과물이다. 1890년 제1권이 출판되자 세계적인 찬사를 받으며 경제학 분야에서 그의 입지를 확고히 했다. 원래 제2권에서는 국제 무역, 화폐, 무역 변동, 과세, 집산주의 등을 다룰 예정이었으나, 마셜의 완벽주의적인 성향과 건강 악화로 인해 끝내 완성되지 못했다.[31]
- 1919년 《산업 무역론》 (Industry and Tradeeng):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변화된 국제 경제 상황을 반영하여 77세의 나이로 출판했다.[32] 《경제학 원리》보다 실증적인 내용을 다루었기 때문에, 이론 경제학자들 사이에서는 이전만큼의 찬사를 받지는 못했다.
- 1923년 《화폐, 신용 및 상업》 (Money, Credit and Commerceeng): 사망하기 1년 전에 출판된 저서로, 지난 50년간 그가 발표했거나 발표하지 않았던 경제 사상들을 집대성한 책이다.
2. 4. 말년과 사망
마셜의 건강은 1880년대부터 점차 나빠지기 시작하여, 1908년에는 스스로 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수직에서 물러났다. 그는 자신의 후임으로 피구가 선출되도록 힘썼다. 교수직을 그만둔 후에도 평생의 역작인 『경제학 원리』 제2권 완성을 위해 노력했지만, 세부적인 내용까지 완벽을 추구하는 성격 탓에[31] 방대한 작업을 끝내 마무리하지 못했다. 그의 건강은 계속 악화되었고, 연구 계획은 점점 더 방대해져 갔다.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국제 경제 상황에 대한 분석을 수정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고, 이를 바탕으로 1919년 77세의 나이에 『산업 무역론』(Industry and Tradeeng)[32]을 출판했다. 이 책은 이론 중심의 『경제학 원리』와 달리 실증적인 내용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이론 경제학자들 사이에서는 이전만큼의 큰 찬사를 받지는 못했다. 사망하기 1년 전인 1923년에는 지난 반세기 동안 발표했거나 발표하지 않았던 자신의 경제 사상들을 집대성한 『화폐·신용 및 상업』(Money, Credit and Commerceeng)을 출판했다.
말년에 그는 케인스가 주장한 국가 주도 사업을 통한 경기 부양책을 비판하며 화폐량 증가 정책을 지지하는 견해를 보이기도 하였다. 마셜은 케임브리지의 자택인 벨리올 크로프트(Balliol Croft)에서 1924년 7월 13일, 81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3. 경제학에 대한 공헌
앨프리드 마셜은 고전파 경제학을 현대화하여 신고전학파 경제학의 기초를 다진 인물로 평가받는다.[48] 그는 당대는 물론 이후 반세기 동안 주류 경제 사상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16] 영국 경제학계를 이끄는 지도자로서 학문과 정책 양면에 기여했다.
마셜은 애덤 스미스, 데이비드 리카도, 존 스튜어트 밀 등 선대 경제학자들의 업적을 계승하고 정교화하는 동시에, 경제학의 연구 범위를 인간 행동 연구로까지 넓혔다. 그는 경제학에 수학적 엄밀성을 도입하여 과학적 학문으로 발전시키려 노력했지만, 동시에 수학이 경제학을 대중과 멀어지게 하는 것을 경계하여[12] 이론을 현실적인 사례와 함께 쉽게 설명하고자 했다. 가격 결정의 핵심 도구로서 수요와 공급 분석을 보급하고 수요와 공급 곡선을 고안한 것은 그의 중요한 업적 중 하나이다.[49] 이 외에도 한계 효용, 탄력성,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규모의 경제 등 현대 경제학의 여러 핵심 개념 정립에 기여했다.[17]
그는 경제학 연구가 단순히 이론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노동자의 저임금이나 과도한 노동 시간과 같은 현실의 사회 문제를 개선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고 믿었다.[33] "경제학자는 냉철한 두뇌와 따뜻한 마음을 가져야 한다"는 그의 유명한 말[46]은 이러한 신념을 잘 보여준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수로서 마셜은 존 메이너드 케인스, 아서 세실 피구 등 후대의 경제학계를 이끌어갈 수많은 인재를 양성했다. 그의 가장 중요한 유산 중 하나는 경제학을 존경받는 전문 학문 분야로 정립하고 과학적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여 20세기 이후 경제학 발전에 크게 기여한 점이다. 다만, 동시대 다른 경제학자들의 기여를 충분히 인정하지 않았다는 비판[44][45]도 존재한다.
3. 1. 신고전학파 경제학의 기초 확립
고전파 경제학을 근대화하여 신고전학파의 기초를 닦았다. 그는 당대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이후 50년 동안 주류 경제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16] 영국 경제학계의 지도자로서 학문뿐 아니라 정책에도 기여했으며, 케임브리지 학파 경제학의 기반을 마련했다.[48]마셜은 애덤 스미스, 데이비드 리카도, 토머스 로버트 멜서스, 존 스튜어트 밀과 같은 고전파 경제학자들의 이론을 확장하고 정교하게 다듬었다. 동시에 경제학의 연구 대상을 전통적인 시장 경제 분석에 국한하지 않고 인간 행동 연구로까지 넓혔다.
그는 경제학의 수학적 엄밀성을 높여 보다 과학적인 학문으로 만들고자 노력했다. 하지만 수학이 경제학을 지배하여 일반인에게서 멀어지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A. L. 보울리(A. L. Bowley)에게 보낸 편지에서 그는 수학을 사용하는 자신만의 원칙을 밝혔는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학을 탐구의 도구가 아닌 약어로 사용한다. (2) 끝날 때까지 수학을 사용한다. (3) 영어로 번역한다. (4) 그런 다음 실제 생활에서 중요한 예로 설명한다. (5) 수학을 태운다. (6) 4번에 성공할 수 없다면 3번을 태운다."[12] 이러한 원칙에 따라 그의 저서에서는 본문을 일반 독자를 위해 작성하고 수학적 내용은 각주와 부록으로 배치하는 방식을 택했다.
마셜의 가장 중요한 기여 중 하나는 가격 결정의 핵심 도구로 수요와 공급 분석을 널리 보급한 것이다. 그는 수요와 공급 곡선을 처음으로 고안한 경제학자로 알려져 있다.[49] 수요(소비자의 효용)와 공급(기업의 생산 비용)이 마치 가위의 양날처럼 상호작용하여 가격을 결정한다는 '가위 분석'은 효과적으로 분석의 중심에서 가치 이론을 제거하고 가격 이론으로 대체했다.
또한 마셜은 "한계 혁명"의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소비자가 한계 효용과 가격이 같아지는 지점까지 소비를 조정한다는 아이디어를 제시했으며, 이를 확장하여 수요 가격 탄력성 개념을 발전시켰다. 소비자 잉여와 생산자 잉여 개념을 도입하여 경제적 후생을 분석하는 틀을 마련하기도 했는데, 이 두 잉여는 때때로 '마셜 잉여'라고도 불린다. 그는 이 잉여 개념을 활용하여 세금 부과나 가격 변화가 시장 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엄밀하게 분석했다. 이 외에도 준지대 개념을 확인했으며, 규모의 경제를 내부 요인과 외부 요인으로 구분하는 등[17] 경제학의 여러 중요 개념 발전에 기여했다.
화폐 이론 분야에서는 피구, 호트리 등과 함께 화폐 수량설의 소득 접근법(케임브리지 접근법)을 개발하는 데 기여했으며,[13] 이는 케임브리지 방정식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4]
마셜은 왕성한 저술 활동을 통해 자신의 사상을 체계화하고 전파했다. 1879년 아내 메리 팔리 마셜(Mary Paley Marshall)과 함께 ''산업 경제학''을 출판했고, 같은 해 ''국제 무역 이론: 순수한 국내 가치 이론''을 펴냈다. 그의 가장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저작인 ''경제학 원리''는 1890년에 출간되어 이후 오랫동안 경제학 교과서의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이후 ''산업과 무역''(1919), ''화폐, 신용 및 상업''(1923) 등을 저술하며 연구를 이어갔다.
1890년부터 그가 사망한 1924년까지 마셜은 경제학계의 존경받는 아버지와 같은 존재였으며, 그의 사후 반세기 동안에도 그의 영향력은 절대적이었다. 그의 제자들 중 존 메이너드 케인스와 아서 세실 피구는 이후 경제학계를 이끄는 주요 인물이 되었다. 마셜의 가장 중요한 유산 중 하나는 경제학을 존경받는 과학적 학문 분야로 정립하고 전문 경제학자 양성에 기여하여 20세기 경제학 발전의 토대를 마련한 점이다. 그의 총애를 받았던 케인스는 나중에 마셜을 "설교자이자 인간의 목사로서 그는 다른 유사한 인물보다 특별히 뛰어났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과학자로서는 그는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100년 동안 전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학자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자신이 선호하여 우위를 부여하려 했던 것은 그의 본성의 첫 번째 측면이었다. … 독수리와 같은 날카로운 눈과 하늘을 나는 날개는, 길을 설파하는 사람의 명령에 따라 종종 지상으로 불려 돌아왔다."라고 평가했다.
다만, 레옹 발라스, 빌프레도 파레토, 쥘 뒤피 등 동시대 다른 경제학자들의 기여를 과소평가했으며, 스탠리 제번스의 영향력을 마지못해 인정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한편, 나카노 고시는 마셜이 젊은 시절 독일 유학 경험을 통해 독일 역사학파의 영향을 받았으며, 그의 이론이 경제 민족주의적 성격을 띠고 신고전파 경제학의 일반적인 가정과 달리 방법론적 개인주의를 버리고 방법론적 전체주의를 채택했다고 지적하기도 한다.[44][45]
마셜은 경제학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를 사회 개선에 두었으며, "경제학자는 냉철한 두뇌와 따뜻한 마음을 가져야 한다"는 그의 유명한 말[46]은 이러한 신념을 잘 보여준다. 그는 이론이 현실 문제 해결에 기여해야 하며, 현실과 동떨어진 이론은 "단순한 시간 낭비"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47]
3. 2. 주요 개념 및 이론
고전파 경제학을 현대화하여 '''신고전학파''' 경제학의 기초를 마련했다.[48] 그는 가격 결정의 핵심 원리인 수요와 공급 법칙을 널리 알렸으며, 이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수요와 공급 곡선'''을 처음으로 제시한 경제학자 중 한 명이다.[49]마셜은 애덤 스미스, 데이비드 리카도, 토머스 맬서스, 존 스튜어트 밀 등 고전파 경제학자들의 이론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면서도, 경제학의 연구 범위를 전통적인 시장 분석을 넘어 인간 행동 연구까지 확장했다. 그는 경제학에 수학적 엄밀성을 더하고자 했으나, 수학이 경제학을 지배하여 일반 대중과 멀어지는 것을 경계했다. 이 때문에 그의 저술은 본문에서는 쉬운 설명을 사용하고, 복잡한 수학적 내용은 각주나 부록으로 배치하는 방식을 택했다.[12]
마셜의 주요 이론적 기여는 다음과 같다.
- 가격 결정 이론: 수요와 공급을 가위의 양날에 비유한 '마셜의 가위' 분석을 통해, 상품의 가치는 내재적인 것이 아니라 수요와 공급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는 가격으로 파악해야 함을 강조했다. 이는 분석의 초점을 가치 이론에서 가격 이론으로 옮기는 데 기여했다.
- 한계 효용 분석: 소비자는 각 상품의 한계 효용이 가격과 같아지는 지점에서 소비를 결정한다는 이론을 제시하며 '한계 효용 혁명'에 기여했다.
- 탄력성 개념: 수요의 가격 탄력성 개념을 명확히 하여 가격 변화가 수요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틀을 제공했다.
- 경제적 후생: 소비자잉여와 생산자잉여 개념을 도입하여 시장 거래에서 소비자와 생산자가 얻는 이득을 측정하고, 조세나 가격 변화가 시장 전체의 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기초를 마련했다. 이 두 잉여를 합쳐 '마셜 잉여'라고도 부른다.
- 준지대 개념: 단기적으로 공급이 고정된 생산요소에서 발생하는 소득인 준지대 개념을 제시했다.
- 규모의 경제: 생산 규모가 커짐에 따라 생산 비용이 감소하는 현상을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으로 구분하는 규모의 경제 개념을 명확히 했다.[17]
- 이자율 결정 이론: 이자율은 자본에 대한 수요(자본의 한계생산력)와 공급(저축을 위한 기다림, 즉 '대기')에 의해 결정된다는 '대기설'을 제시했다.[43]
- 화폐수량설: 피구, 호트리 등과 함께 화폐 수량설의 케임브리지 버전(케임브리지 방정식)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13][14]
마셜은 이러한 경제 이론과 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노동자의 저임금이나 과도한 노동 시간과 같은 현실의 사회 문제를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자 했다.[33] 그는 경제학이 현실 문제 해결에 기여해야 함을 강조하며 "경제학자는 냉철한 두뇌와 따뜻한 마음을 가져야 한다"는 말을 남겼다.[46]
다만, 그는 레옹 발라스, 빌프레도 파레토, 쥘 뒤피 등 동시대 다른 경제학자들의 기여를 충분히 인정하지 않았고, 윌리엄 스탠리 제번스의 영향력에 대해서도 마지못해 인정하는 태도를 보였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3. 3. 마셜의 k와 소득 유통 속도
피구, 호트리와 함께 마셜은 화폐수량설 또는 화폐 이론의 소득 버전을 개발했다.[13] 1917년 마셜은 케임브리지 버전의 화폐수량설을 소개했고, 이는 피구, 호트리, 로버트슨에 의해 더욱 개선되어 케임브리지 방정식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4]화폐수량설에서 어빙 피셔가 제시한 피셔의 교환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M''은 통화 공급량, ''V''는 화폐 유통 속도, ''P''는 가격 수준, ''T''는 거래량을 의미한다. 이 식을 ''V''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이때의 ''V''는 재화의 총 거래액()을 통화 공급량()으로 나눈 값으로, 화폐의 거래 유통 속도(Velocity of circulation of moneyeng)라고 불린다.[34]
일반적으로 거래량 ''T'' 대신 실질 GDP()를 사용하여 방정식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
여기서 는 명목 GDP를 의미한다. 이 식을 유통 속도 ''V''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이때의 ''V''는 명목 GDP()와 통화 공급량()의 비율로, 화폐의 소득 유통 속도(Income velocity of moneyeng)라고 불린다. 일반적으로 GDP에 포함되지 않는 거래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소득 유통 속도는 거래 유통 속도보다 작다.[35]
마셜은 이 소득 유통 속도의 역수, 즉 를 ''k''로 정의했다. 이를 마셜의 k라고 부른다.
:
마셜의 ''k''는 명목 GDP 대비 통화 공급량의 비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이 값이 1이라면 통화 공급량이 명목 GDP와 같다는 의미이다. 마셜의 ''k'' 값의 변화 추이를 통해 현재 경제 상황에서 화폐가 과잉 상태인지 혹은 부족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참고로, 마셜이 원래 제시했던 식은 다음과 같다.
:
여기서 ''Md''는 화폐 수요, ''A''는 자산 총액을 의미한다. 이 식은 훗날 케인스가 제시한 화폐 수요 함수(''화폐 수요 = 거래 수요 + 투기적(자산) 수요'')의 초기 형태로 평가받기도 한다.
4. 경제 사상과 사회적 관점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스승 마셜을 평가하며 그가 단순히 뛰어난 경제학자를 넘어 사회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진 인물이었음을 시사했다. 케인스는 마셜에 대해 "설교자이자 인간의 목사로서 그는 다른 유사한 인물보다 특별히 뛰어났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과학자로서는 그는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100년 동안 전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학자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자신이 선호하여 우위를 부여하려 했던 것은 그의 본성의 첫 번째 측면이었다. … 독수리와 같은 날카로운 눈과 하늘을 나는 날개는, 길을 설파하는 사람의 명령에 따라 종종 지상으로 불려 돌아왔다."라고 평가했다.(케인스 『인물평전』 동양경제신보사)[22] 이는 마셜의 경제학이 단순한 이론을 넘어 사회 개선에 대한 열망과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中野剛志(나카노 고시)는 마셜의 경제 사상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신고전파 경제학의 틀에만 국한되지 않는다고 분석한다. 그는 마셜이 독일어에 능통했고 젊은 시절 독일 유학 경험을 통해 헤겔 철학과 독일 역사학파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그의 경제 이론에 반영되어 일종의 경제 민족주의적 성격까지 띤다고 지적한다.[44]
나카노에 따르면, 마셜은 리카도나 맬서스와 같은 고전파 경제학자들의 정태적 균형 모델과 달리, 근대 산업 사회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유기체와 같다고 보았다. 또한, 인간을 단순히 이기적이고 합리적인 존재로만 가정하는 신고전파 경제학의 접근법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는 인간 행동의 복잡성을 인정하고, 사회적 맥락 속에서 경제 현상을 이해하려 했으며, 이론 구축에 있어 방법론적 개인주의보다는 방법론적 전체주의에 가까운 관점을 취했다.[45] 이러한 분석은 마셜의 경제학이 단순히 시장 메커니즘 분석에만 머무르지 않고, 사회 전체의 발전과 윤리적 측면까지 고려했음을 시사한다.
5. 비판
(내용 없음)
5. 1. 케인즈주의의 비판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마셜의 경제학이 대공황, 세계 대전과 같은 현실의 심각한 문제에 대해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마셜이 장기적으로는 모든 경제 현상이 균형을 이룰 것이라고 주장한 데 대해, 케인스는 "장기에는 우리 모두 죽는다"라는 유명한 말로 응수하며, 당면한 문제 해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또한, 케인스와 친분이 있던 이탈리아 경제학자 피에로 스라파는 자신의 저서 ''상품에 의한 상품생산''에서 마셜 경제학의 기본 가정들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스라파는 마셜이 이론의 수학적 완전성을 위해 내세운 완전경쟁, 장기적 완전고용, 장기적 균형 달성 등의 가정이 현실 경제와는 거리가 멀고 근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스라파의 비판적 시각은 이후 네오케인즈 학파 경제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5. 2. 마르크스주의의 비판
대다수의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들은 앨프리드 마셜의 경제학이 시장 질서의 절대성을 옹호하고, 자본주의의 영원성을 입증하려 한다고 비판하였다. 또한 마셜의 경제학은 경제학을 정치와 분리하여 기존의 '정치경제학'으로서 가지는 의미를 퇴색시켰으며, 인간의 경제활동을 수학 공식에 얽매었다고 비판하였다.6. 평가와 영향
마셜은 당대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지며, 이후 50년 동안 주류 경제학 사상을 크게 형성했고, 신고전파 경제학 학파의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16] 그의 경제학은 애덤 스미스, 토마스 로버트 맬서스, 존 스튜어트 밀의 업적을 확장하고 다듬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시장 경제에 초점을 맞춘 고전 경제학에서 벗어나, 인간 행동 연구로서의 경제학을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 다만, 레옹 발라스, 빌프레도 파레토, 쥘 뒤피 등 동시대 다른 경제학자들의 기여를 과소평가했으며, 스탠리 제번스의 영향조차 마지못해 인정한 측면이 있다.
마셜은 효용 분석을 사용했지만, 이를 직접적인 가치 이론으로 삼지는 않았다. 대신 수요 곡선과 대체 원리를 설명하는 이론의 일부로 활용했다. 그의 유명한 가위 분석은 수요와 공급, 즉 효용과 생산 비용을 가위의 양날처럼 결합하여 분석의 중심을 가치 이론에서 가격 이론으로 효과적으로 옮겨 놓았다. 이로 인해 '가치'라는 용어는 점차 '가격'과 동의어로 사용되었고, 가격은 더 이상 절대적인 기준을 향하는 것이 아니라 수요와 공급의 관계 속에서 결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마셜의 경제 사상을 체계화한 영향력은 매우 크다. 그는 가격 결정 도구로서 수요와 공급 함수의 사용을 대중화했으며(이는 이전에 쿠르노가 독자적으로 발견한 바 있음), 현대 경제학자들은 가격 변화와 곡선 이동 간의 관계 분석을 마셜에게 빚지고 있다. 마셜은 소비자가 한계 효용이 가격과 같아질 때까지 소비를 조정한다는 아이디어를 제시하며 "한계 혁명"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수요 가격 탄력성 개념 역시 이러한 아이디어의 확장으로 마셜에 의해 제시되었다. 생산자잉여와 소비자잉여로 구성된 경제적 후생 개념도 마셜의 중요한 기여이며, 이 둘을 합쳐 '마셜 잉여'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는 이 잉여 개념을 사용하여 세금과 가격 변화가 시장 후생에 미치는 영향을 엄밀하게 분석했다. 또한 준지대 개념을 확인하기도 했다.
마셜이 영국의 "산업 지구"에서 사회적, 문화적 관계에 대해 간략하게 언급한 내용은 20세기 후반 경제 지리학과 제도 경제학 분야에서 집적과 학습 조직에 대한 연구의 출발점이 되었다. 그는 또한 생산 요소 투입 비용 감소가 시장 전체 기업에 긍정적 외부 효과를 발생시킨다는 내부 및 외부 규모의 경제 개념을 구분하는 데 기여했다.[17]
1890년부터 1924년까지 마셜은 경제학계의 존경받는 아버지였으며, 사후 반세기 동안에도 많은 경제학자들에게 존경받는 인물로 남았다. 그는 생전에 논쟁을 피하는 성향이었지만, 그의 공정함은 동료 경제학자들로부터 큰 존경과 숭배를 받았다. 그의 케임브리지 제자들 중에는 존 메이너드 케인스와 아서 시실 피구와 같이 경제학계의 주요 인물로 성장한 이들이 많다. 그의 가장 중요한 유산 중 하나는 경제학을 존경받는 학문적이고 과학적으로 기반을 둔 전문 분야로 확립하여 20세기 후반 경제학의 기틀을 마련한 것이다. 1992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게리 베커는 밀턴 프리드먼과 함께 앨프리드 마셜을 자신의 연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인물로 꼽기도 했다.
마셜 사후, 케인스는 그의 스승에 대한 부고를 썼는데, 조지프 슘페터는 이를 "내가 읽어본 과학자의 가장 훌륭한 전기"라고 극찬했다.[22]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케임브리지 대학교 경제학과 도서관(케임브리지 경제학 마셜 도서관), 케임브리지 경제학회(마셜 학회)[23], 그리고 브리스톨 대학교 경제학과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가 살았던 집 발리올 크로프트는 1991년 케임브리지 루시 캐번디시 칼리지가 매입하여 마셜 하우스로 이름을 바꾸었다.[25]
참조
[1]
논문
The Influence of Thomas Carlyle among Economists in Britain, c. 1880–1920
https://www.berghahn[...]
2019-03-01
[2]
서적
Econophysics of Agent-Based Model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3]
웹사이트
Alfred Marshall
https://web.archive.[...]
2017-06-01
[4]
간행물
The Wrong Marshall: Notes on the Marshall family in response to biographies of the economist, Alfred Marshall, Megan Stevens and Alun Stevens
2020-04-01
[5]
서적
Alfred Marshall: Progress and Politics (Routledge Revivals)
Taylor & Francis
[6]
웹사이트
Search Results for Alfred Marshall
https://www.oxforddn[...]
[7]
서적
Essays in Biography
Harcourt Brace & Co.
[8]
서적
Essays in Biography
Palgrave Macmillan
[9]
academic
[10]
웹사이트
Alfred Marshall (1896–2019)
http://www.oxforddnb[...]
2008-05-01
[11]
서적
[12]
논문
Keynes, IS-LM, and the Marshallian Tradition
Duke University Press
[13]
서적
Macroeconomic Analysis in the Classical Tradition: The Impediments Of Keynes's Influence
Routledge
[14]
서적
Economic Theory in the Twentieth Century, An Intellectual History – Volume I: 1890–1918. Economics in the Golden Age of Capitalism
Springer Nature
[15]
서적
[16]
웹사이트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3-25
[17]
웹사이트
External Economies of Scale
http://www.investope[...]
Investopedia
[18]
간행물
Industrial Districts/Local Production Systems as hypernetworks: a neo-Marshallian interpretive frame
[19]
웹사이트
Alfred Marshall y la teoría económica del empresario
https://web.archive.[...]
[20]
웹사이트
Congress Presidents 1869–2002
https://web.archive.[...]
2002-02-01
[21]
서적
A Guide to Churchill College, Cambridge
[22]
서적
Ten Great Economists
Simon Publications
[23]
웹사이트
marshallsociety.com
[24]
웹사이트
Marshall Library Archives – Overview
http://www.marshall.[...]
2011-11-20
[25]
웹사이트
Lucy Cavendish College Site and Buildings
https://web.archive.[...]
[26]
논문
"If you compete with us, we shan't marry you" The (Mary Paley and) Alfred Marshall Lecture
https://doi.org/10.1[...]
2021-10-19
[27]
서적
Changing Relations of Welfare: Family, Gender and Migration in Britain and Scandinavia
Routledge
[28]
서적
Limitations of the General Theory
[29]
서적
[30]
서적
"The Pure Theory of Foreign Trade: The Pure Theory of Domestic Values"
[31]
서적
[32]
서적
"Industry and Trade : A Study of Industrial Technique and Business Organization, and their Influences on the Conditions of Various Classes and Nations"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서적
マーシャル クールヘッド&ウォームハート
2014
[37]
서적
マーシャル クールヘッド&ウォームハート
2014
[38]
서적
マーシャル クールヘッド&ウォームハート
2014
[39]
서적
マーシャル クールヘッド&ウォームハート
2014
[40]
기타
[41]
서적
マーシャル クールヘッド&ウォームハート
2014
[42]
서적
マーシャル クールヘッド&ウォームハート
2014
[43]
웹사이트
待忍説
[44]
서적
国力論
以文社
2008
[45]
서적
国力論
以文社
2008
[46]
서적
Marshall (1885)
[47]
서적
世界を変えた経済学の名著
日本経済新聞社
2013
[48]
백과사전
[49]
논문
compensated and uncompensated demand function with an Application to Giffen Goods
https://dspace.mit.e[...]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